정현백 여가부 장관, 'APEC 여성경제회의' 정부 수석대표로 참석
<이 기사는 2017년 09월 27일 16시 5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은 오는 28~29일 베트남 후에에서 열리는 '2017 APEC 여성과 경제회의'에 대한민국 수석대표로 참석해 여성의 역량 강화를 위한 우리 정부의 정책을 알린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와 젠더 이슈 확대를 위해 1998년 창설된 이 회의는 올해 '변화하는 세계에서 여성의 경제적 포용성 및 역량 강화'(Enhancing Women's Inclusion and Economic Empowerment in a Changing World)를 주요 의제로 열린다.
본 회의에는 각국 정부대표와 관련 국제기구 관계자 및 여성기업인 등 500여 명이 참석한다.
정 장관은 오는 29일 오전(현지시각) 열리는 '고위급 회의'에서 여성의 역량 강화와 경제적 포용성(women's inclusion)을 높이기 위해 우리 정부가 그간 펼쳐온 다양한 정책과 향후 추진방향을 국제사회에 밝힌다.
이날 입직단계에 있는 청년 여성들을 위한 진로개발 상담, 멘토링 등의 사업과 경력 단절된 여성들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경력단절문제의 근본해결책인 근무과정의 성차별 완화를 위해 '성 평등 임금공시제' 도입, '성 평등 임금실천 매뉴얼' 배포 등도 계획하고 있음을 집중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우리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등 시대적 변화에 대응해 성 평등과 여성고용률을 높이기 위해 펼치고 있는 다양한 정책도 설명한다.
이날 여성과학기술인을 육성하기 위해 펼치는 지원정책, 지난해부터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실시해온 고숙련·고부가가치 직종 전문 직업교육훈련, 과학기술·IT 분야에 특화된 경력개발형 지원센터 운영현황 등을 설명한다.
정 장관은 이에 앞서 28일에는 'APEC 여성기업과 스마트 기술 세미나'에 참석해 '4차산업 혁명과 ICT(정보통신기술) 산업에서 여성의 역량 강화'라는 제목으로 기조연설을 한다.
숙명여자대학교 아·태 여성정보통신원가 주최하고 여성가족부가 후원하는 이번 세미나는 APEC 대표단 21개국을 비롯해 여성기업인 약 100여 명이 참석하며 처음으로 APEC 기금을 유치해 열린다.
이 자리에서 정 장관은 "산업환경 변화의 주축이 되는 ICT 기술과 산업의 기반을 형성하는 여성기업가의 양성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또한 "여성인재가 ICT 분야에서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청년 및 미취업 여성인력 대상 전문교육과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재교육 및 취업 연계 등에 주력할 것"이라고 정책 의지를 밝힌다.
한편 정 장관은 공식회의 참석 이외에도 올해 베트남 여성연맹 위원장(응옌 티투하) 및 호주 여아·여성특임대사(샤먼 스톤)와 양자면담을 하고 여성경제활동 참여 활성화를 위한 국제적 협력기반을 다진다.
특히 베트남 여성연맹과 만남에서 결혼 이주예정자를 위한 한국생활안내서(Welcome Book) 배포, 3개 지역(하노이, 껀터, 호찌민) 사전교육 실시 등 베트남 현지 결혼 이주예정자를 위한 우리 정부의 지원정책을 소개하고 안정적 한국사회 정착과 인권보호를 위한 정책적 노력도 알릴 예정이다.
현재 국내 6만 2천여 명(2015년 기준)에 이르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해 자조 모임 활성화와 다누리콜센터 별도 상담원 지정 등이 추진되고 있으며 입국 전 사전교육도 향후 상시상담으로 확대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APEC에 참가한 국내 여성기업인들과 간담회를 하고 여성기업의 역량 강화와 국제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이날 베트남 한인 동포들과 만나 정부가 추진 중인 일·가정 양립 지원정책, 여성고용률·대표성 제고 정책 등을 설명하고 동포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요청할 예정이다.
전체 회의 일정을 마친 후에는 후에대학교를 방문해 한국어과 학생 100여 명과 만남의 시간을 갖고 한국 여성의 현실과 성 평등 정책 등을 설명하고 양국의 우호증진을 위한 차세대 리더들의 역할에 대해 강연한다.
정현백 장관은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에 대한 차별이 해소된다면 성장의 혜택은 더 많은 인구에게 돌아가고 이는 포용적 성장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대한민국 정부는 맞춤형 지원을 통해 젠더 감수성이 뛰어난 4차 산업혁명의 인재를 양성하고 여성들의 새로운 도전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끝)
출처 : 여성가족부 보도자료
본 콘텐츠는 제공처의 후원을 받아 게재한 PR보도자료입니다.